BackEnd

도메인 추가 할 때 참고 하던 싸이트

아직미정임 2022. 4. 4. 23:19

https://happist.com/573990/%EC%B5%9C%EC%8B%A0-lets-encrypt-ssl-%EC%9D%B8%EC%A6%9D%EC%84%9C-%EB%B0%9C%EA%B8%89-%EB%B0%A9%EB%B2%95-3%EA%B0%80%EC%A7%80-%EC%A0%95%EB%A6%AC#Lets_Encrypt_SSL_injeungseo_balgeub_bangbeob_4gaji

 

최신 Let’s Encrypt SSL 인증서 발급 방법 4가지 정리 | 꿈꾸는섬

마케팅 경영 사례 연구 및 트렌드 탐구

happist.com

문서 정리 필요 함

 

 

 

3. standalone 옵션 적용 SSL 인증서 발급

여기 소개하는 standalone 옵션은 사이트 서비스를 중단하고 사이트의 네트워킹을 이용해 인증서버와 접속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처음에 가장 많이 소개된 방식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단점이면서도 장점을 가지는데요. 단점은 이 인증을 진행하는 동안 사이트 서비스를 중단해야 한다는 점이구요. 장점은 간편하고 빠르고 더우기 안정성도 높습니다.

사내 방화벽을 매우 까다롭게 관리하는 국내 일부 회사 중에서 SSL 인증 방식에 따라 접속을 허용하는 않는 경우도 있는데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회사 중의 하나도 이 standalone 방식만 제대로 통과되는 것으로 확인하기도 했습니다.(2020년 5월 기준)

이런 저런 이유로 웹서버를 중단시키고 발급받는 불편함은 있지만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혼란을 피하기 위해 처음부터 다시 설명해 봅니다.

우선 SSL 인증을 위한 Certbot tool을 설치합니다. 이전 단계에서 설치 했다면 Pass

 

다음으로는 웹서버를 중단시킵니다. 아무 디렉토리에서나 가능한 명령이지만 root로 이동해서 진행해 봅니다.

 

cd /root/ service nginx stop

 

이제 certbot 명령을 이용해 SSL 인증을 시작합니다. standalone 명령을 사용하고 도메인 이름만으로 인증이 진행되는 -d 옵션을 적용합니다.

 

certbot certonly --standalone -d 사이트명